6개의 다른 YouTube 채널과 SaaS 회사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분석으로, 이 두 회사는 연간 총 24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립니다.

유튜브 영상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. (영상 제목: "I Make $2.4M/Year With 6 YouTube Channels - YouTube")


1. 출연자 소개 및 성과

  • 출연자: Charlie (찰리)
  • 주요 성과:
    • 유튜브 채널 6개 운영
    • 월 약 $200,000(약 2억 6천만 원) ~ $300,000(약 4억 원) 수익 창출
    • 연간 $2.4M(약 32억 원) 이상 벌어들이고 있음
  • 비즈니스 구조:
    • 메인 채널: 본인 이름(“Charlie Chang”)으로 110만 명 이상의 구독자 보유
    • 다른 채널 5개 운영(예: “SARP Wise” 등)
    • 수익 비중
      • 50~55%: 제휴마케팅(어필리에이트)
      • 20~25%: 브랜드 스폰서십
      • 20~25%: 유튜브 광고 수익(AdSense)

2. 성장 배경 및 초기

  • 비전통적 경력 시작:
    • 부모님은 그를 의사로 키우고 싶어 했으나, 본인은 대학 졸업 후 취업이 어려워 다양한 ‘사이드 허슬’ 시도
    • 사진, 영상, 모델, 연기, 의류 브랜드, 마케팅 에이전시, 부동산, 모기지 등 여러 직종을 전전
    • 친구들은 안정적인 직장을 갖고 있었으나, 본인은 수입이 0원에 가깝거나 연 $50,000 정도에 불과했음
  • 유튜브 시작:
    • 2018년부터 재테크/금융 콘텐츠를 업로드하기 시작
    • 처음에는 전혀 수익이 없었으나, 2020년에 유튜브 광고 수익(AdSense)으로 하루에 $750를 벌게 되면서 가능성을 확신
    • 당시부터 ‘매일 업로드’ 전략을 사용하며 급성장

3. 유튜브 성장 전략

  1. 제작 역량 향상
    • 카메라, 오디오, 스토리텔링 등 전반적인 영상 품질을 꾸준히 개선
    • 정보를 간결하고 쉽게 전달해, 시청자들이 끝까지 보도록 유도
    • 처음에는 “내가 내성적인데 과연 가능할까?” 했으나, 꾸준한 연습으로 자신만의 스킬 구축
  2. 콘텐츠 기획
    • 검색(SEO) + 바이럴을 함께 노림
    • Evergreen(지속적으로 검색되는) 콘텐츠 예: “주식 투자하는 방법”
    • 시의성 있는 주제에도 빠르게 대응:
      • 예: 코인 붐 → 코인 콘텐츠, 주식 붐 → 주식 콘텐츠, 사이드 허슬 붐 → 사이드 허슬 콘텐츠
    •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“제목 + 썸네일” 조합 중요
      • 예: “10가지 수입원으로 X만 달러 벌었다” 등 숫자, 호기심 유발 요소
  3. 도구 활용
    • ClickUp: 콘텐츠 기획/프로젝트 관리
    • Frame.io: 영상 초안 업로드 및 수정
    • Slack: 팀 커뮤니케이션
    • Hubstaff: 원격 인력 시간 추적
    • AI 도구:
      • Submagic, Descript, Opus 등 → 롱폼(long form) 영상을 숏폼(short form)으로 변환하여 콘텐츠 확장

4. 비즈니스 운영 및 팀 구성

  • 팀 규모: 약 26명
    • COO(최고운영책임자)
    • 프로젝트 매니저 2~3명 → 각각 다수의 영상 편집자, 썸네일 디자이너, 그래픽 디자이너 등과 협업
  • 운영 비용: 월 $20,000(약 3,200만 원) 수준
    • 대부분 해외 인력을 고용해 인건비 절감
  • 해외 인력 고용:
    • Upwork, Fiverr, Onlinejobs 등을 활용
    • 찰리가 직접 창업한 Paird라는 해외 스태핑 회사(채용 대행 서비스)를 통해 인력 채용
      • 적합한 인력 1~2명 선별 후, 고용주에게 연결
      • 풀타임 해외 인력의 월 급여는 직무에 따라 $600~$1,100 선


5. 수익 모델의 다각화

  1. 유튜브 채널 (광고, 스폰서십, 어필리에이트)
  2. 해외 스태핑 회사 (Paird)
    • 창업 배경:
      • “유튜브 채널로 확보한 마케팅 파워” + “해외 인력에 대한 수요”
      • 차후에 회사를 키워 매각(엑싯) 가능성을 염두
  3. 향후 목표:
    • 전통적인 기업가처럼 회사를 키워 지분가치를 높이고, 유튜브 채널을 활용해 성장 가속

6. 찰리의 일상 및 업무 철학

  • 일과 삶의 균형:
    • 하루 5시 30분~6시 30분 기상 → 헬스, 간단한 루틴 → 업무
    • 주당 30~50시간 근무, 나머지는 계속 아이디어 구상(“항상 머릿속은 ON 상태”)
  • 취미:
    • 운동(헬스, 피클볼 등), 음악, Netflix 시청
  • 자동차 취향:
    • 현재 3대 보유 (스프린터 밴, 레인지로버, 페라리)
    • 스프린터 밴은 세금 혜택 목적도 있음

7. 창업 조언 및 성공 마인드셋

  1. 빠른 실행:
    • 어떤 아이디어든 일단 시작해보라. 잘못된 선택이라면 그 경험에서 배우면 되고, 맞는 선택이라면 빨리 성공하게 된다.”
  2. 고가치 스킬 습득:
    • 짧은 기간(몇 달) 내 배울 수 있는 기술이라도, 이를 기반으로 곧바로 수익화 가능
    • 과거의 경험과 스킬들이 쌓여 다음 단계의 발판이 됨
  3. 환경 변화:
    • 자신이 속한 도시나 커뮤니티가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면 과감히 이동
    • “주변 환경이 사람의 마인드와 성장을 좌우한다.”
  4. 팀 빌딩의 중요성:
    • 처음에는 혼자 일했으나, 직원 고용 후 비로소 “비즈니스”가 됨
    • 본인이 없어도 회사가 굴러가도록 시스템화 필요
  5. 자신만의 길 개척:
    • 가족, 친구, 사회적 통념이 아닌, 자신이 원하는 일과 프로젝트에 집중
    • 실패하더라도 배우는 과정이며, 결국 본인만의 정체성을 찾아야 함

8. 핵심 정리

  • 유튜브로 연간 약 $2.4M 수익: 어필리에이트, 광고, 스폰서십이 핵심
  • 콘텐츠 전략: Evergreen + 시의성 주제, 검색 유입(SEO), 클릭 유도(썸네일·제목), 시청 지속(스토리텔링)
  • 비즈니스 확장: 유튜브 채널 → 해외 인력 고용 플랫폼(Paird) 창업
  • 조언: 빠른 실행, 고가치 스킬 습득, 환경 변화, 팀 빌딩, 자기만의 정체성 추구

찰리의 사례는 유튜브라는 플랫폼을 활용해 자신만의 비즈니스를 키우고, 그 영향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회사를 창업하여 다양한 수익원을 확보한 대표적 성공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.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G5cbMnFXcj0

 

반응형